• 컨설턴트의 논리적 사고를 키우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Debate Skill 배양이 필요함
• 토론이란 무엇이고, 어떤 구조로 해야 하는가?
모든 토론은 논제와 그 안에 등장하는 개념을 바르게 정의하는 것(즉, 토론 주제에 대한 Focusing)에서 시작한다.
논제(Resolution)는 논란(Controversy)들 가운데 가장 핵심인 사안을 명료하게 구분해 주는 명제이다.
논제를 둘러싸고 찬성 측은 현 상태(status quo)가 변하면 좋겠다고 하며, 반대 측은 현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 두 측이 서로 공방을 주고받으면서 토론이 진행되는데 이 때 찬성측 첫 번째 발언자는 논제를 수립하고자 필요조건(Requirement)을 증명해야 하는 ‘증명의 부담(Burden of proof)’을 안는다.
또한, 찬성 측은 논제에 내재되어 있는, 반드시 있다고 주장하는 사실 또는 가치와 관련된 진술인 ‘필수 쟁점(Stock issues)’을 제시해야 한다.
한편 반대측은 반박하지 않은 쟁점은 ‘침묵은 곧 동의를 뜻한다’라는 토론 원칙에 따라 찬성 측이 이긴 것으로 간주되기에 찬성 측을 반드시 반박해야 하는 ‘반박의 부담(Burden of rebuttal)'을 안는다. 그에 따라 반박 측은 상대 토론자가 제시하는 논리에 나타나는 문제나 취약 부분을 탐색하고 부각시키는 심문 과정인 교차 조사(Cross examination)를 벌인다. 그 뒤 찬성 측이 제시한 해결 방안보다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대안(Alternative), 곧 대체 방안(Counter plan)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면 찬성 측 또한, 교차 조사를 벌이고 그 반대로 대체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토론형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의 토론은 의회토론 방식을 따르고자 함
①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형식
현재 미국 대학간 토론 대회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토론 형식. 찬 ‧ 반, 또는 긍 ‧ 부정 양 팀은 각각 2명으로 구성되며, 토론자 개개인은 각각 발언 기회를 세 번씩 갖는다. 곧 각각 한 번씩 입론과 반박, 그리고 교차 조사를 한다. 이는 토론 전개 상황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플로차트(Flowchart)를 활용하여 진행된다.
② 링컨-더글러스 토론(Lincoln - Douglas Debate) 형식
가치 토론에서 가장 대표적인 형식이다. CEDA와는 다르게 이 토론 형식은 가치 평가 대상 규정, 주요 평가 개념 정의, 평가 항목과 기준 설정, 가치 구조 설정과 정당화 같은 것을 필수 쟁점으로 삼는다.
③ 의회 토론(Parliamentary Debate) 방식
1820년대에 생긴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학생회가 행하던 토론 형식에 기초를 둔 것으로, 영국 의회가 띠는 특징을 반영한다. 보통 한 조에 두 사람이 참여하며, 그 가운데 한 사람(수상과 야당 당수)이 각각 발언 기회를 두 번씩 갖고 다른 한 사람(여당 의원과 야당 의원)이 발언 기회를 한 번씩 갖는 것이 보편 형태이다. 그러나 토론자 세 명이 참여하여 각각 한 번씩 발언 기회를 갖는 형식을 써도 된다.
④ 칼 포퍼 토론(Karl Popper Debate) 방식
철학자 칼 포퍼가 주창한 이념에 기초를 두고 1994년에 만들어진 토론 방식이다. 주로 고등학생들에게 비판 위주 사고, 자기표현, 그리고 다른 의견에 대한 관용(tolerance)을 길러주고자 만들어졌다. 세 명이 한 조를 이루어 각 조가 입론을 한 번 하고 반론을 두 번 하며, 마지막 반론을 빼고는 모든 연설마다 교차 조사가 진행되는 토론 방식이다.
• 의회토론 방식의 진행순서
• 의회토론 방식의 진행사례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조직/팀 내에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궁금한점은 댓글에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알고 있는 지식 선에서 피드백 하도록 하겠습니다
히즈웰컨설팅
'기업 역량 강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ISP 위한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0) | 2023.12.21 |
---|---|
24. 프리젠테이션 방법론 - 설계단계 (0) | 2021.05.01 |
23. 프리젠테이션 방법론 - 분석 단계 (0) | 2021.02.17 |
22. 프리젠테이션의 이해 (0) | 2021.02.16 |
21. Problem Solving Process (0) | 2021.02.16 |